본문으로 바로가기

2020/6/26 C#

category 스마트팩토리/C# 2020. 6. 26. 17:49

 

Console.WriteLine("{0}", 3.14) 
여기서 3.14는 Tosting을 작업을 해서 보여주는거다 
3.14는 아스키 코드로 변환해주는 것이 Tosting이다. 

보통은 자동적으로 Tosting으로 해준다.


Console.WriteLine("radius의 형 : {0}", radius.GetType()); 
GetType은 그 문구(radius)의 타입을 나타낸다. 

Tip.기본형은 int.뒤에 머가 안붙는다. .을 붙이는건 기본형이 아니다.

 

 

암시적 형변환은  범위가 작은 데이터 타입에서 그 값을 충분히 담을 수 있는 큰 타입으로 형변환하는 것은 컴파일러가 암시적 변환으로 간주해서 오류 없이 컴파일 과정을 완료 할수 있다. 하지만 반대의 경우는 불가능하다.

 

 

 

개발자가 의도한 형변환이었음을 컴파일러에게 알려야 할때 명시적 변환이라는 의미로 캐스팅을 한다.

이밖에도 큰 데이터 타입에서 작은 데이터 타입으로 형변환할 때도 명시적 형변환을 사용해야만 한다

명시적 형변환은 프로그래머가 책임을 지겠다는 말이다.

 

 

!은  True False를 나타낼때 사용한다.

bool abool = !7은 안된다.

허나 bool abool = ! bool형이 들어가면 된다.예를 들어서 bool abool = !True를 넣으면 된다.

 

!은 bool의 반대로 바꾸는 거다
~은 정수를 반대로 바꿀때 사용한다. (밑에 예시를 들어놨다 보고 이해하기 바란다)

 

~ 단항연산자이자 비트연산자이다.

 

3.1 + 4 
여기서 +는 앞뒤에 형(3.1과 4)를 보고 판단해서 결정한다
double + int
int를 double로 바꿔서 결과가 나온다.

 

?: 은 삼항 연산자이다.
A ? B : C
A는 조건 B는 참 C는 거짓

 

^ 모든 비트가 같으면 0,하나라도 다르면 1이다.

 

/ %는 같은 회로이다 동시에 일어난다 (정수에 한해서)
동시에 결과를 도출하고 /하면 몫을 가져오고 %하면 나머지를 가져온다.

 

정처기 P560에 나옴 

 

 

 

 

Point >= 0 에서 왼쪽과 오른쪽이 둘다 정수랑 실수가 들어갈수 있다. 

if ( )에서 ( )안에는 bool형만 들어갈수 있다.(C#에서) C언에서는 들어갈수 있다.

 

 

'스마트팩토리 > C#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20/06/30 C#  (0) 2020.06.30
2020/06/29 C#  (0) 2020.06.29
2020/06/25 C#  (0) 2020.06.25
5/21 C#  (0) 2020.05.30
5/20 C# 시작  (0) 2020.05.30